2009년 11월 14일
한RSS 부분유료화
아루웍스가 설립된지 2년반이 다 되가지만, 사실 순수 웹서비스로 회사를 운영해나간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인 것 같습니다.

한RSS 부가서비스를 유료화하기까지도 내부적으로 여러가지 고민과 논쟁이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제대로 준비할 여건도 갖추기 힘들었고요.
적어도 현재 한RSS는 아루웍스라는 기업을 꾸려나가는 데 아무런 도움이 안되는지라, 이번 부분유료화는 사실 서버 구매비용이라도 마련해 보자라는 생각으로 조금은 무리하게 진행한 셈입니다.

요즘 김밥 한줄이 2,000원인데, 김밥 반줄의 값어치를 가지는 웹서비스 만드는 것도 정말 어렵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
by 성렬 | 2009/11/14 23:36 | 한RSS | 트랙백(4) | 핑백(1) | 덧글(22)
트랙백 주소 : http://srlog.egloos.com/tb/5122753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Tracked from Ejang.net at 2009/11/15 09:52

제목 : APML 프로젝트 UB를 소개합니다.
APML 이라는 단어를 접한것이 몇 년 전의 일인지 기억이 잘 나지 않습니다. 지금 왜 이것을 다시 꺼내드느냐하는것에는 하고 싶은 이야기가 아주 많습니다.아래는 최근에 제 1회 벤처기업/아이디어와 투자자와의 만남 이라는 행사에서 APML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발표자료입니다.문제가 있는 곳에 기회가 있다고 했던가요? 제가 가진 문제의 출발은 이것입니다.회원가입 페이지에서 받는 블로그 주소, 프로필 페이지에 입력하는 블로그 주소, 관심있는 키워드를......more

Tracked from 나의 심플한 정신세계 at 2009/11/26 18:07

제목 : 좋아도 공짜여야 하고, 좋아도 유료는 안된다
한RSS 부분유료화한RSS의 부분 유료화에 대한 글이고,몇몇 구독자들의 의견이 있네요.친구의 추천으로 구독하게 된 한RSS첨엔 그렇게 사용하지 않던 RSS였으나, 본격적으로 블로그를 사용하면서 필요성을 느꼈습니다.역시나...즐겨찾기를 사용하던 생활에서 벗어나서, 좀더 편리한 블로깅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한RSS에서 부분유료화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글과 댓글을 보면서,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이런기능이 있어서 좋았고, 저런기능이 있어서 좋았고......more

Tracked from grokker's me.. at 2009/12/02 00:15

제목 : 그로커의
요즘 김밥 한줄이 2,000원인데, 김밥 반줄의 값어치를 가지는 웹서비스 만드는 것도 정말 어렵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more

Tracked from 장난감 병정의 게임 보.. at 2009/12/05 21:56

제목 : 어제, 한RSS 부가서비스 6개월 이용권을 구매했습..
어제, 애용하는 RSS 리더 서비스 제공 사이트 한RSS에서 부가 서비스 6개월 이용권을 구입했습니다. 대단한 일은 아닙니다만, 꼭 포스트를 하고 싶었습니다.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개념적으로는 2004년부터 알고 있었지만, 군대를 가는 문제 등도 있어 눈길을 주지 않다가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more

Linked at Twitter.. at 2009/11/16 11:47

... 성렬's log - 한RSS and beyond : 한RSS 부분유료화</a> srlog.egloos.com/5122753 &ndash; <a href="http://srlog.egloos.com/5122753" class="external exit">view page</a> &ndash; ... more

Commented by Alphonse at 2009/11/15 01:49
흠... 유료화에 대해서 내부적으로 얼마나 많은 논의가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이번 유료화는 왠지 돈 안되는 부분을 억지로 한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HanRSS는 부분 유료화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스타트 개념일까요?
하여튼 저는 페이퍼에 미달 되는 유저에게 기회를 주는 유료화가 더 낫다고 생각 했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
Commented by 성렬 at 2009/11/15 02:03
페이퍼 고정노출은 이미 광고상품으로 있는데요. :-)
고정노출이 아닌 "페이퍼에 노출될 수도 있다" 정도로 돈을 받으면 아마 문제삼는 분들이 제법 있을 것 같네요. 그렇잖아도 논란이 많은 페이퍼를 더 산만하게 만들수도 있고요.
Commented by 고래울음 at 2009/11/15 08:03
페이퍼가 논란이 많다는것을 알고 있으면서 고칠려고 하지 않는 모습부터 수정했으면 합니다. 유료화는 반대하지 않지만 긴안목으로 보면 한rss를 떠나는 모습을 만드는것 같아 안타깝네요.
Commented by 성렬 at 2009/11/16 09:55
http://www.hanrss.com/bbs/thread.qst?tsrl=1389
위에서 볼 수 있듯이 페이퍼를 고치려고 하지않은 것은 아니랍니다. ^^; 제대로 고칠 여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감사.
Commented by 으아앙 at 2009/11/15 09:28
한rss 리스트 받아 떠납니다.ㅠㅠ 구글 고고씽.
Commented by 이장 at 2009/11/15 09:51
AMPL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해외에 rss리더들이 비슷한 시도를 여러번 했는데요..
Commented by 성렬 at 2009/11/16 09:33
트랙백 링크로 들어가봤는데, 페이지가 안 뜨네요.
Commented by 음.. at 2009/11/15 13:25
저는 부분유료화 자체는 긍정적으로 봅니다. 하지만 다음 페이지에 달린 사용자들의 댓글에서도 보실 수 있듯이 돈내고 쓰기에는 약간 아쉬운듯한 상품이 불만입니다. http://www.hanrss.com/bbs/thread.qst?tsrl=1640
기왕 장사를 해야한다면 제대로된 상품을 준비하는게 어떨까요? 충분히 구현 가능한 기능들을 요구하는것 같은데 말이죠.
Commented by 성렬 at 2009/11/16 09:36
구현은 가능하지만, 문제도 많이 될 수 있는 기능들이죠. 어쨌든 부가서비스는 계속 개선시켜나갈 계획입니다. ^^
Commented by 돌리어스 at 2009/11/15 14:36
유료화 자체야 이해할수 있습니다만,
전 전혀 쓰지않는 기능들이 유료화가 됬다보니 돈내고 쓸일이 없을듯 하네요.
Commented by widgie at 2009/11/15 19:49
유료화를 이해 못하는건 아니지만, 돈내고 쓸 정도의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하는 의문도 듭니다.
아무쪼록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하네요.
Commented by 넝쿨 at 2009/11/16 04:50
뭐 제대로된 기능하나 없는데 유료화라니 ㅠㅠ
이제까지 순 노가다 하면서 리스트 목록 정리하면서도
한 rss에 남아있었던건 정든곳이라는 이유 뿐이었어요..

이젠 그냥 정말 떠나야 겠어요
더 좋은 기능이 많은 신천지로 ..
Commented by blogu at 2009/11/16 08:24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벤처기업으로서 생존해 나가기 힘든 이유를 볼 수 있는것 같아 씁쓸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유료화에 대한 유저들의 인식의 벽이 너무 높다는 겁니다. 담배 한 갑 살 돈은 전혀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면서 정작 자신에게 도움이 되던 유용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는 왜 그리들 인색하신지...개인적으로 몇 년을 그리 공짜로 썼으면 이 정도의 유료화는 충분히 납득할만 수준일 것같은데... 제발 길게 봤으면 합니다. 유저들이 더 좋은 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려면 한RSS같은 벤처가 많이 살아 있어야 하는거 아닐까요? 아무튼 이번 부분유료화가 잘 진행되길 유저의 한 사람으로서 기대합니다.
Commented by 성렬 at 2009/11/16 09:49
힘이 되는 격려에 감사드립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계속 발전되가는 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 ^^
Commented by 메아리34 at 2009/11/16 11:25
제가 아직까지는 한RSS의 기본기능(블로그 구독)만 사용해와서, 부가기능까지 사용하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그렇다고해도 빠른 시일내에 유료결제를 할 예정입니다. 굳이 이 답글을 쓰는 이유는 저도 개인적으로 blogu의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하기 때문입니다. IT 관련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평소 취미로 IT나 소프트웨어 등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운영자님께 격려의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Commented by at 2009/11/16 09:51
저도 뜰 겁니다........
한RSS가 그나마 온라인에서 RSS로 수집해서 글을 모을 수 있는 곳이라서 좋아했는데...
그리고 링크도 온라인에서 저장할 수 있어서 좋아했는데.. 유료화라.....
1000 2000 원이 아까와서 그런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 결재하는 과정...... 그리고 계속 유료라는 것에 대해서 신경을 써야되는 것이 몇만원이상의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마케킹이나 그런것은 모르지만 "유료를 해서 돈을 벌겠다." 라는 생각보다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꼭 사용해야할" "사고싶다." "쓰고싶다"라는 생각이 들게 해야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실패를 수도없이 하다보시면 깨닫게 될 것 같네요........~~~ 그럼 건승하세요.
Commented by 상하이신 at 2009/11/17 18:00
제가 관련하여 포스팅을 했습니다. 꼭 봐 주셨으면 좋겠구요. 떠나려는 이용자에게 안녕히 가라는 인사보다는 붙잡아 주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http://eliot.tistory.com/133
Commented by 성렬 at 2009/11/18 11:17
귀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일단 공지제목에서 "유료화"란 단어는 빼두었습니다.
앞으로 풀어가야할 숙제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
Commented by 쏭군 at 2009/11/18 19:06
한국 웹서비스에서 B2C 모델이 자리 잡기가 참 힘든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기업이 B2B 모델로 돈을 벌고, 이 피해가 고스란히 유저들에게 돌아온다는 걸 생각하면(ex, 네이버 검색결과 대부분 광고)
참... 안타깝습니다.
모쪼록, 용기있는 선택이 좋은 결과 있기를 빕니다.
Commented by harris at 2009/12/10 18:12
그 누구보다도 유료화에 대해 고민(고뇌)이 많으셨을걸로 압니다.
부분 유료화는 이제 막 시작되었을 뿐이니 앞으로 유저들과의 진솔한 대화를 통해 잘 다듬어주시길 바래봅니다.^^
Commented by Fmin at 2009/12/15 19:59
이것저것 다 써보다가 결국 한rss로 정착한지도 꽤 되었네요.
정말 만족하고 있습니다.
한달에 김밥 반 줄 정도는 얼마든지 낼 용의가 있습니다.
고마운 마음으로만도 그렇지만,
사실 유료화? 된 부분이 그렇게 와닿는 기능은 아니라 그냥 보고만 있습니다.
요즘 다들 툴바도 쓰고 구글웨이브도 하고 그러느라 그런 건 많이 와닿지는 않네요~


현재 서비스는 그대로 하되, 좀더 업그레이드된 추가 서비스가 마음에 든다면
얼마든지 유료로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먹고살아야죠 at 2010/03/31 15:26
아루웍스에서 일하시는 노동자분들도 밥은 먹고 살아야지요.

:         :

:

비공개 덧글



<< 이전 페이지 | 다음 페이지 >>